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고사유2

노동관계법령상 금지되는 대표적인 해고 사유 8가지 이번 포스팅은 노동관계법령상 금지되는 대표적인 해고 사유 8가지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노동관계법령상 금지되는 대표적인 해고 사유 8가지 노동관계법령상 금지되는 대표적인 해고 사유 8가지 근로기준법에 따른 해고 사유 제한 ■ 사용자의 법령 위반 사실 통보를 이유로 한 해고 금지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근로기준법 또는 근로기준법 시행령을 위반한 사실이 있으면 근로자는 그 사실을 고용노동부장관이나 근로감독관에게 통보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위의 통보를 이유로 근로자에게 해고나 그 밖에 불리한 처우를 하지 못합니다. ※ 근로기준법 제104조 제2항을 위반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해고 사유 제.. 2023. 4. 4.
근로기준법에 따른 해고의 제한 및 적용범위 근로기준법에 따른 해고의 제한 및 적용범위에 관하여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근로기준법에 따른 해고의 제한 2. 근로기준법에 따른 해고 제한 규정의 적용 범위 근로기준법의 해고 제한 규정 근로기준법은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에 따라 근로관계를 종료시키는 해고에 대해 해고사유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해고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근로기준법을 비롯한 노동관계법령의 해고 제한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해고사유의 제한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 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등은 특정한 사유에 따른 해고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 및 제24조는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와 경영상 이유에 의한 해고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해고시기의 제한 사용.. 2023. 4. 4.
반응형